본문 바로가기
경제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일 및 계산법 핵심 정리

2023. 6. 2.

만 나이 통일법이 오는 6월 28일 시행됩니다.

만 나이로 변경하는 이유는 만 나이 사용 원칙을 확립하여 여러 가지 나이 계산법에 따른 혼선과 불필요한 법적 또는 행정적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달라지는 만 나이 통일법에 해대 알아보겠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일

2023년 6월 28일(수)

1월 1일이 아닌 6월 28일부터 시행하는 이유는 만 나이를 잘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시간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만 나이 통일법 계산법

출생일 기준 0살
생일마다 +1살

출생일 기준으로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입니다.

※ 1세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월 수로 나이를 표시합니다.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이번 연도 - 태어난 연도 - 1 = 현재 나이

예시) 2023 - 1992 - 1 = 30세

 

올해 생일부터

이번 연도 - 태어난 연도 = 현재 나이

예시) 2023 - 1992 = 31세

 

 

국가법령정보센터 앱 및 법제처 홈페이지 등 온라인 포털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 앱 다운로드

 

 

 

법제처

행정기본법 제정, 주요기능과 사업, 생활법령, 법령해석, 세계법제, 법제소식, 법령검색 등 제공

www.moleg.go.kr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이후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나오는 나이는 '만' 자가 없어도 만 나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사용된 나이가 여러가지 나이 계산법(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 나이)으로 인해 일어났던 법적 다툼이나 민원이 없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기간, 기초연금 수급 시기 등은 현재도 법령상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달라지는 사항은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