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온도를 1℃만 낮춰도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전국에 한파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에너지 사용 줄이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해 에너지 절감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가정에서 도시가스를 아끼고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스비는 온수 사용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실내 적정 난방 온도(18~20℃)와 적정 습도(40~60%)를 유지하고, 적정 온수(40℃)를 설정함과 동시에 수압을 중간으로 사용하고 외출 모드를 활용하는 게 난방비 절약의 핵심 요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내 적정 난방 온도(18~20℃) 설정하기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0℃에서 1℃씩 올라갈때마다 난방비가 15% 이상 상승하게 되며,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하면 가스 소비량이 클 수 있습니다. 실내 난방온도를 1℃만 낮게 설정해도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적정 습도(40~60%) 유지하기
보일로 가동과 함께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 해주면 좋습니다.
실내에서 적정 습도(40~60%)를 유지하면 열 전달 효율이 상승하여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적정 온수 온도(40℃) 설정하기
가정에서는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수압을 강하게 해 뜨겁다고 느껴질때 다시 차가운 방향으로 돌리는 상황이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입니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에서 사용하면 물을 뜨겁게 하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 낭비와 더불어 아이들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 돌리기
온수를 사용한 후에는 수도꼭지 방향을 온수 쪽으로 돌려놓으면 물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므로 온수 사용 이후에는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려주면 좋습니다.
보일러 외출 기능 이용
보일러를 완저히 끄게 되면 일정 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외출 기능을 활용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좋습니다.
10시간 이내로 귀가한다면 외출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한겨울 아침 최저기온이 -12℃이하인 날이 이틀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 발표하는 한파주의보 발령 시에는 예약·외출 기능 대신 15℃~17℃ 정도로 실내온도를 설정하면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집안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방한용품 활용하기
난방은 보조 난방 기기나 보일러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높이는 것보다 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부의 찬기운을 막을 수 있도록 에어캡(뽁뽁이)이나 커튼, 카페트, 난방 텐트 등을 잘 활용하면 실내온도를 지켜주는 효과를 볼 수 있어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보온용품 착용하기
내복, 히트택 등 기능성 발열내의를 포함하여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을 착용하여 체감온도를 올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일러 똑똑하게 이용하기
각 방별로 코일 길이가 상이하여 난방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일별로 회수 온도가 높은 방의 밸브 일부를 잠그고, 회수 온도가 낮은 방의 밸브를 열어두는 방법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만 닫을 경우 난방절약효과가 없기 때문에 주 차단 밸브 또는 사용하는 방 밸브를 조절해야 합니다.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
온도조절기는 잠긴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 공급이 이루어지기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 주 차단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난방을 하지 않는 방의 문을 닫아 두어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일러 청소의 생활화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재와 물속의 스케일 성분으로 열효율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보일러 사용전에 내부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슬기로운 난방 생활을 통해 난방비도 절약하고, 에너지 절약도 실천하여 에너지 위기에서 지구를 살립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녹색서울실천공모사업 추진 안내 (0) | 2023.02.02 |
---|---|
자동차세 납부방법 및 부과기준, 연납제도 알아보기 (0) | 2022.12.15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가입 및 마일리지 사용 방법 (0) | 2022.12.06 |
2024년 달라지는 부모급여 알아보기 (0) | 2022.11.26 |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Q&A (0) | 2022.11.22 |
댓글